오늘은 맛있는 쌀 좋은 쌀 고르는 법을 중점적으로 다루려고 합니다. 쌀등급 등 우리가 평소에 쌀을 구입할 때 어떤 부분을 유심히 봐야 하며 쌀은 우리에게 어떤 이로운 점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쌀?
쌀을 다들 아시겠지만 벼의 낟알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곡입니다.
좋은 쌀 고르는 법
우리나라에는 쌀 품종만 300종이 넘게 있습니다. 그만큼 좋은 쌀 고르기란 쉽지 않습니다.
생산연도, 도정일자, 쌀등급, 품질, 품종 등 다양한 부분을 확인 후에 쌀을 골라야 맛있는 밥을 우리가 먹게 됩니다.
생산연도, 도정일자
당연한 이야기일 수 있겠지만, 생산연도와 도정일자는 제일 가까운 것으로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쌀을 도정을 한 순간부터 산화가 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도정일자, 생산연도가 중요합니다. 수분이 점차 사라지면서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쌀등급
쌀 등급에는 총 4가지가 있습니다.
특, 상, 보통, 등외가 있는데 쌀을 사게 되면 보통 다 앞에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부서지거나 손상이 적습니다.
그래서 만약에 등급으로 따진다면, 상이상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쌀알은 밥의 식감을 좌우함으로 등급이 중요합니다.
구체적으로 알려드리면, 특등급은 쌀이란 전체 중에 싸라기가 3.0% 미만, 분상질립 2.0% 미만, 피해립 1.0% 미만 등의 기준이 충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전에는 등급검사 미표시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의무화가 돼서 그런 경우에는 등외로 표시하게 됩니다.
그럼 특등급이면 밥맛이 좋을까요?
꼭 그런 건 아닙니다. 밥맛은 품종, 산지, 재배 및 수확 관리 조건등으로 이루어지는 편입니다. 그래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고품질 품종으로 지정된 쌀은 8종입니다.
호품, 삼광, 운광, 고품, 칠보, 하이아미, 진수미, 영호진미가 있습니다.
혼합과 단일 품종
한 가지 품종의 순도가 80% 이상이면 단일 품종이라고 보통말합니다. 그래서 고급에 속하게 됨으로 가격적으로 비쌉니다. 혼합의 경우는 단일품종에 비해 금액적으로 저렴한 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백미를 고를 때 이물질이 없고, 쌀알이 광택이 나고 맑아야 합니다. 또란 쌀알의 모양이 균일해야 합니다.
품종순위
1. 고시히카리
2. 히토메보레
3. 삼광
4. 오대
5. 추청벼
6. 신동진
7. 영호진
8. 진상
쌀 백미 현명하게 먹는 법
한국인의 주식인 쌀밥, 하지만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가 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 쌀밥을 먹을 때 현명하게 먹어야 합니다.
1. 콩이랑 같이 먹기
완두콩 등 콩이랑 같이 밥을 먹으면, 리신, 메티오닌, 아르기닌, 히스티딘 등 9가지 아미노산을 모두 섭취 가능합니다.
2. 채소랑 함께 먹기
당근, 시금치 등 채소와 함께 먹으면 백미의 낮은 식이섬유 성분을 채워주고 칼슘, 비타민C, 철, 엽산 등의 영양소도 같이 먹게 됩니다.
3. 채소, 고기와 같이 먹기
식사의 1/4는 밥으로 채우고 나머지는 채소와 고기로 채우는 게 좋습니다.
이 밖에도 덮밥, 비빔밥, 생선 등과 곁들여 먹으면 백미, 쌀밥에 부족한 영양소를 충분히 채울 수 있습니다.
'현명한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 부위별 요리 및 특성 돼지고기 고르는 법 (4) | 2024.12.25 |
---|---|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 먹는법과 고르는법 (0)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