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님초대준비를 하기전에 먼저 체크해봐야하는 사항들이 있습니다. 처음 시작하려고 하면 막막하지만 어떤 손님인지, 손님음식취향파악, 참여인원수, 초대하는 목적 등 고려해야하는 것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물론 음식맛도 중요하겠지만 만드는 사람의 마음과 정성이 제일 중요하겠죠? 힘들때 "우리집에 와서 같이 식사하실래요?" 이 말이 위로가 되길 위한 마음이 있습니다. 함께 나누면서 상대방이 느끼는 행복은 배가 되길 원합니다.





손님초대음식준비

먼저 떠오르는 것부터 차근하근 체크해보겠습니다.

1. 초대하는 목적
- 생일(생신)
- 축하를위한 자리(승진&취업,임신 등)
- 신년,연말등 새로운시작과 마무리
- 크리스마스
- 집들이
- 소소하게담소
- 추석,설날
- 기타

초대하는 목적에 따라 음식종류와 플레이팅 또 집안 분위기 조성도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정해졌다면, 집에 오시는 손님을 파악하는게 좋습니다.

2. 손님파악

- 참여인원수
(손님초대음식만들기 준비 전에 재료를 구입하려면 대략적인 인원수 파악은 중요합니다. 음식이 모자라면 큰일입니다. 당일에 인원수가 바뀔 수 있지만 1-2명 정도의 차이는 괜찮습니다.)
- 손님연령대
(어린아이 손님이나, 나이가 있으신 어르신분들이 오실 때는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이 많아짐으로 꼭 염두해두어야합니다. 식기류준비부터 매운음식을 먹지못하거나 씹을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음식은 제외해야할 수 있습니다.)
- 손님음식취향
(혹 물어볼 수 없는 사항이나 불편하다면 먹지 못하는 음식이라도 알면 좋습니다. 대부분 다 좋아한다고 하실 수 있는데 가끔 해물종류를 못드시거나 알러지가 있으신 분들이 있어서 이부분 파악은 중요합니다. 아무리 맛있게 음식을 만들어도 오신 손님이 드시지 못하면 그건 망패입니다.)
-초대날짜,요일체크
식재료를 사기위해서 현지직송이나 산지직송하는 제품들은 전날출발해서 당일도착이나 아니면 전날 도착으로 해야하는 경우가 있어서 미리 체크가 필요합니다.

3. 음식예산

이부분도 중요합니다. 나는 손님초대음식으로 얼마를 쓰던지 상관이없다고 하시는 분들은 그냥 다음단계로 넘어가시면 되지만, 낭비되는 돈이나 너무 비싸지 않는 선에서 음식을 준비하신다면 꼭 체크해야합니다.

통상적으로 어떤음식을 메인으로 할지에 따라 금액이 차이가 생깁니다.

고기에도 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오리고기,양고기 등이 있고 해산물에도 전복,새우,문어,낙지,오징어,조개류,참치,연어 등 진짜 무궁무진합니다.

예를 들어 집초대 인원수가 2인정도라면, 메인요리하나에 사이드메뉴 하나정도를 해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8인정도라면 메인메뉴 2-3개 사이드메뉴 1-3개 기타메뉴들도 준비해야할 수 있습니다.

크게 10만원대, 20만원대, 30만원대 대략 금액을 정하고 재료구입할 곳과 금액을 체크합니다.

4. 메뉴선정

이제 메뉴선정을 합니다. 주어진 예산에 부합하도록 후보군들을 준비합니다. 재료 구입시 재료상태가 안좋거나 제철음식이라 구입이 힘들거나 아니면 너무 터무니없이 비싸거나 그럴경우 대체도 가능하게 해야합니다.

5. 재료구입 미리체크

손님이 오시는 날짜를 체크해서 내가 찾는 음식재료가 파는 곳이 그전에 신선한 상태로 도착할 수 있는지 체크합니다. 문의를 하거나 미리 예약주문을 하면 좋습니다. 직접가서 사오는것도 좋지만 시간이 바쁘다면 미리알아보고 준비하면 좋습니다.

저는 고기나,해산물종류는 대부분 산지직송,현지직송등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재료가 신선해야 일단 맛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어떨때는 전복이 넘 신선해서 버터구이 하나로 멋진 하나의 요리가 될 수 있습니다.

네이버검색이나 마트(이마트,롯데마트 등)도 다 고려하지만
저는 네이버카페(농라)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농산물,수산물 직거래 장터입니다.

실제로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곳들이 중간 도매업을 거치지않고 판매자를 통해서 구입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제품의 질은 좋지만 금액은 저렴한 편입니다. 아마 이런 사이트가 더 많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혹시 몰라서 링크 삽입해드립니다.
농라카페

6. 요리순서체크

손님 오기전에 따뜻한 음식을 빠르게 준비해야겠죠? 어떤 음식부터 어떤재료부터 준비해야하는지 체크해서 메모를 해두면 좋습니다.
예를들어, 채소손질, 해산물손질 등은 미리할 수 있으면 미리해두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요리부터 먼저 시작하면 좋습니다. 전날 미리 고기를 재워준다던지 만들어둘 수 있는 부분은 해두면 훨씬 수월하고 빠르게 끝낼 수 있습니다.

이런준비가 없으면 손님이 왔을때도 만들어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어떤 손님에 따라 사실 상관이없을 수 있지만 처음뵙는 분들이거나 생일상 등은 미리 셋팅해두는게 제일 좋습니다.

* 이렇게 하시면 대략 음식준비를 다 마친거같습니다 *

7. 플레이팅

혹 집을 꾸미거나 플레이팅을 원하시는 분들은 미리 어떤 스타일, 재료들을 구입해서 연습도 해보시고 머리속에 구현해보시는게 좋습니다.

특히 음식을 놓을 때 접시 들도 어떤 접시가 적합할 지 생각하고 음식을 셋팅하면 좋습니다. 우리집에는 접시가 정말 많다면 상관없지만 필요에따라 필요한 물품을 구매해야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저도 크림뷔렐레를 만들면서 용기를 따로 구입했었습니다. 사실 집에서 디저트류 만들일은 많이 없기 때문에 그에 맞는 그릇은 구입한 적이 없었습니다.

그럼 이제 손님초대, 손님초대음식만들기 준비는 된 것 같습니다. 다음편에서는 실제 손님초대음식 준비를 어떻게 했는지 실전편으로 다시 이야기를 담아보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